티스토리

기록장
검색하기

블로그 홈

기록장

w-insome.tistory.com/m

lleesla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쿠키와 세션을 활용한 로그인 (이론) 로그인 페이지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서버로 전송했을 때, 서버는 로그인을 처리하는 로직의 위치 파악과 로그인 후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어떻게 로그인 상태를 유지해야할까?보통 이러한 로그인 상태는 쿠키 혹은 세션으로 관리를 하며 여기에 해당 키의 유효시간 관리를 통해 일정시간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쿠키(Cookie)쿠키란 서버가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Client)에 저장하는 작은 데이터이다.쿠키의 형태는 Key : Value의 문자열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예를 들어 'Hello'라는 ID를 가지는 유저가 로그인 후 잠시 사이트를 닫고 재접속해도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는 바로 쿠키를 이용한 것이다.쿠키 동작 원리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브라우저는 서버로 요청을 보낸다서버에서 로그인 성공..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2. 9.
  • 연산자 연산자와 연산식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연산이라고 한다.연산에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를 연산자라고 하고, 연산이 되는 데이터를 피연산자라고 한다.ex) + , - , / , * : 연산자ex) x, y : 피연산자연산자별로 연산 후 산출되는 값의 타입이 다르다.예를 들어 산술 연산자는 숫자타입(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비교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는 논리 타입으로 나온다.연산의 방향과 우선순위x > 0 && y 다음의 연산식에서 &&가 먼저 처리될까 등호가 먼저 처리될까?프로그램에서는 연산자의 연산 방향과 연산자 간의 우선순위가 정해져 있다.우선순위가 같은 연산자의 경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연산을 시작한다.a = b = c = 5위의 연..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17.
  • 조건문과 반복문 4.1 코드 실행 흐름 제어자바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main () 메소드의 시작 중괄호 {}까지 위에서부터 아래로 실행하는 흐름을 가지고 있다.실행 흐름을 개발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흐름 제어문이다.흐름 제어문 = 제어문제어문은 조건식과 중괄호 {} 블록으로 구성되는데 조건식의 연산 결과에 딸 블록 내부의 실행 여부가 결정된다.제어문 종류조건문 : if문 switch문반복문: for문, while문, do-while문조건문일 경우 제어문 블록이 실행 완료되었을 경우 정상 흐름으로 돌아간다.반복문일 경우 제어문 처음으로 다시 되돌아가 반복 실행한다.= 루핑(looping)이라고 한다.제어문 블록 내부에는 또 다른 제어문을 사용하여 복잡한 흐름 제어도 가능하다.4.2 조건문(if문..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12.
  • 15장 파일 시스템 파일과 디렉터리파일파일이란?하드 디스크나 SSD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관련 정보의 집합의미 있고 관련 있는 정보를 모은 논리적 단위모든 파일에는 이름과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 그리고 파일 관련 부가 정보가 있다.이 부가 정보를 속성 또는 메타데이터라고 한다.파일 속성파일 형식, 위치, 크기 등 파일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파일 속성과 유형속성 이름 의미유형운영체제가 인지하는 파일의 종류를 나타낸다.크기파일의 현재 크기와 허용 가능한 최대 크기를 나타낸다.보호어떤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생성 날짜파일이 생성된 날짜를 나타낸다.마지막 접근 날짜파일에 마지막으로 접근한 날짜를 나타낸다.마지막 수정 날짜파일이 마지막으로 수정된 날짜를 나타낸다.생성자파일을 생성한..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6. 11.
  • 14장 가상 메모리 14장 가상 메모리프로세스 A가 A의 크기만큼 메모리 주소를 할당 받아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데 이렇게 프로세스에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는 방식을 연속 메모리 할당 방식이라고 한다.이와 같이 프로세스들을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할당할 때 무엇을 고려해야하는지, 어떤 잠재적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자!14-1 연속 메모리 할당스와핑메모리에 적재된 프로세스들 중에서 현재 실행되지 않는 프로세스가 있을 수 있다.입출력 작업의 요구로 대기 상태가 된 프로세스.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프로세스이러한 프로세스들을 임시로 보조기억 장치 일부 영역으로 쫓아내고 생긴 메모리상의 빈 공간에 또 다른 프로세스를 적재하여 실행하는 방식이다.프로세스들이 쫓겨나는 보조기억장치의 일부 영역을 스왑 영역현재 실행되지 않는 프로세스가 .. 공감수 2 댓글수 1 2024. 6. 10.
  • 변수와 타입 2.1 변수2.1.1 변수란?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이다.다양한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 없고, 한 가지 타입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2.1.2 변수의 선변수 선언은 어떤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변수 이름이 무엇인지 결정한다.int age; //정수(int) 값을 저장할 수 있는 age 변수 선언 double value; //실수(double)값을 저장할 수 있는 value 변수 선언 같은 타입의 변수는 콤마를 이용하여 한꺼번에 선언할 수도 있다.int x,y,z ;  작성 규칙 예첫 번째 글자는 문자이거나 ‘$’, ‘_’ 이어야 하고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가능: price, $price, _companyName 안됨: 1v, @speed, $#value영어 대소문자가 구분된다. .. 공감수 0 댓글수 1 2024. 6. 9.
  • 13장 교착 상태 13-1 교착 상태란식사하는 철학자 문제동그란 원탁에 다섯 명의 철학자가 앉아 있고, 철학자들 앞에는 맛있는 식사가 있고, 철학자들 사이 사이에는 식사에 필요한 포크가 있다. 그리고 철학자들 앞에 있는 식사는 두 개의 포크로 먹을 수 있는 음식이라 가정하자. 과연 철학자들은 무사히 식사를 마칠 수 있을까? 모든 철학자가 동시에 포크를 집어 식사를 한다면 어떤 철학자도 식사를 할 수 없고 영원히 생각만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이렇게 일어나지 않을 사건을 기다리며 진행을 멈춰 버리는 현상을 교착 상태라고 한다.철학자는 프로세스 혹은 스레드, 포크는 자원, 생각하는 행위를 자원을 기다리는 것에 빗대어 볼 수 있다. 포크는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 혹은 스레드만 접근할 수 있으니 임계 구역이라고 볼 수 있다.. 공감수 0 댓글수 1 2024. 6. 9.
  • 12장 프로세스 동기화 1. 동기화란동기화의 의미협력적으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이 아무렇게나 동시에 실행되서는 안되기 때문에 동기화가 필요하다.정보・통신 분야에서의 동기화 : 작업들 사이의 수행 시기를 맞추는 것프로세스들 사이의 수행 시기를 맞추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실행 순서 제어 : 프로세스를 올바른 순서대로 진행하기상호 배제 : 동시에 접근해서는 안 되는 자원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하게 하기첫번째, 실행 순서 제어를 위한 동기화 Writer라는 프로세스와 Reader라는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 중이라고 가정하고, Writer 프로세스는 Book.txt 파일에 값을 저장하는 프로세스이고, Reader 프로세스는 Book.txt 파일에 저장된 값을 읽어 들이는 프로세스라고 가정해보자이때 두 프로세스가 무작정 순서없이 실행..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8.
  • 11장 CPU 스케줄링 11-1. CPU 스케줄링 개요CPU 스케줄링: 운영체제가 프로세스들에게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CPU 자원을 배분하는 것프로세스들에게 현명하게 CPU를 배분하지 못하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할 프로세스들이 실행되지 못하거나, 당장 급하지 않은 프로세스들만 주로 실행되는 등 무질서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이다.프로세스 우선순위프로세스를 순서대로 CPU를 이용하게 하는 방법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그 이유는 우선순위가 다르기 때문이다.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에는 대표적으로 입출력 작업이 많은 프로세스가 있다.프로세스는 실행 상태와 대기 상태를 반복하며 실행된다.비디오 재생이나 디스크 백업 작업을 담당하는 프로세스와 같이 입출력 작업이 많은 프로세스도 있고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복잡한 수학 연.. 공감수 2 댓글수 2 2024. 6. 7.
  • 10장 프로세스와 스레드 10-1 프로세스 개요지금까지는 단순히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라고 표현했지만 이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한다.프로그램은 실행되기 전까지는 보조 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일 뿐이지만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실행하는 순간 그 프로그램은 프로세스가 됩니다.이 과정을 프로세스를 생성한다고 표현한다.프로세스 직접 확인하기컴퓨터의 프로세스는 윈도우에서는 작업관리자의 [프로세스] 탭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유닉스 체계의 운영체제에서는 ps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실제로 컴퓨터를 켜고 확인하면 실행한 프로세스 외 알 수 없는 여러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다.사용자가 보는 앞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 사용자가 보지 못하는 뒤편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라고 .. 공감수 2 댓글수 1 2024. 6. 7.
  • 9장 운영체제 시작하기 09-1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지금까지는 컴퓨터 구조를 학습했다면, 컴퓨터 구조에서 학습한 부품들을 관리하는 특별한 프로그램인 운영체제를 학습해보자.대표적인 운영체제로는 윈도우, macOS, 리눅스, 안드로이드, iOS운영체제란프로그램 실행에 마땅이 필요한 요소를 시스템 자원, 혹은 자원이라고 한다.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같은 컴퓨터 부품들은 모두 자원이다.여기서 실행할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고,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실행되도록 돕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바로 운영체제이다.커널 영역 : 항상 컴퓨터가 부팅될 때 메모리 내 따로 적재되어 실행되는 공간. 운영체제도 커널 영역에 적재된다.사용자 영역 : 커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사용자가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적재되는 ..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7.
  • 자바 시작하기 1.1 프로그래밍 언어란?기계어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 코드이다.프로그래밍 언어는 고급 언어와 저급 언어로 구분된다.고급 언어고급 언어로 작성된 소스는 컴퓨터가 바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컴파일(compile) 과정을 통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한 후 컴퓨터가 사용하게 된다.컴퓨터와 대화할 수 있도록 만든 언어 중에서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저급 언어대표적으로 어셈블리어가 있다.저급 언어는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배우기 까다롭다.기계어에 가까운 언어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하면 고급 언어를 말하는데,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인 C, C++, 자바(Java)는 모두 고급 언어에 속한다.이 언어들로 작성된 내용을 소스라고 부른다.소스는 컴파일러라는 소프트웨어에.. 공감수 0 댓글수 1 2024. 6. 7.
  • 8장 장치 컨트롤러와 장치 드라이버 “장치 컨트롤러”입출력장치는 CPU, 메모리보다 다루기 까다롭다.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첫째, 입출력장치에는 종류가 너무 많다.키보드, 모니터, USB 메모리, CD-ROM, SSD, 마우스, 프린터, 스피커, 마이크 등종류가 많기 때문에 입출력장치와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을 규격화하기 어렵다.예를 들어 설명하면 CPU와 메모리는 한국어를 사용하고, 프린터는 영어, 스피커는 일본어, 모니터는 중국어를 사용하는 상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둘째, 일반적으로 CPU와 메모리의 데이터 전송률은 높지만 입출력장치의 데이터 전송률은 낮다.전송률 : 데이터를 얼마나 빨리 교환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CPU와 메모리같은 전송률이 높은 장치는 1초에 수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반면,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전송률.. 공감수 0 댓글수 1 2024. 6. 5.
  • 7장 보조기억장치 07-1. 다양한 보조기억장치대중적인 보조기억장치는 하드 디스크와 플래시 메모리가 있다. 플래시 메모리는 USB, SD 카드, SSD와 같은 저장 장치를 말한다.하드 디스크하드 디스크는 자기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이다. 따라서 자기 디스크의 일종으로 지칭하기도 한다.플래터: 동그란 원판 모양으로 하드 디스크에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플래터는 자기 물질로 덮여 있어 N, S극을 저장하고, 이는 0과 1의 역할을 수행한다.스핀들: 플래터를 회전시키는 구성 요소스핀들이 플래터를 돌리는 속도는 분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RPM 단위로 표현된다.헤드: 플래터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구성 요소디스크 암: 헤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며, 헤드는 디스크 암에 부착되어 있다.일반적으로 여러 겹의 ..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5.
  • 6장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 RAM의 특징과 종류주기억장치의 종류에는 크게 RAM과 ROM 두 가지가 있고, 메모리라는 용어는 그 중 RAM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RAM의 특징RAM에 저장된 명령어와 데이터가 전원을 끄면 날라간다.이렇게 전원을 끄면 저장된 내용이 사라지는 저장 장치를 휘발성 저장 장치라고 한다.반면 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내용이 유지되는 저장 장치를 비휘발성 저장 장치라고 한다.하드디스크나 SSD, CD-ROM, USB 메모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가 대표적인 비휘발성 저장 장치이다.보조기억장치는 전원을 꺼도 내용을 유지하지만 CPU는 보조기억장치에 직접 접근은 하지 못한다.그래서 보조기억장치인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는 ‘보관할 대상’을 저장하고, 휘발성 저장 장치인 RAM에는 ‘실행할 대상’을 저장한다.CPU가 실행하.. 공감수 0 댓글수 1 2024. 6. 4.
  • 5장 CPU 성능 향상 기법 05-1 빠른 CPU를 위한 설계 기법클럭조금이라도 더 빠른 CPU를 만들기 위해서는 CPU를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4장에서 학습한 내용을 상기해보면,컴퓨터 부품들은 클럭 신호에 맞춰 일사불란하게 움직인다.CPU는 명령어 사이클이라는 정해진 흐름에 맞춰 명령어들을 실행한다.클럭 속도가 높은 CPU는 일반적으로 성능이 좋다. 그래서 클럭 속도는 CPU 속도 단위로 간주되기도 한다.클럭 속도는 헤르츠(Hz) 단위로 측청하는데, 1초에 클럭이 몇 번 반복되는지 나타낸다.ex) 2.5GHz → 1초에 25억번, 4.9GHz → 1초에 49억번 반복된다는 것을 나타냄클럭 속도를 높이는 것은 CPU를 빠르게 하지만, 무작정 높이게 되면 발열 문제가 생긴다.코어와 멀티코어클럭 속도를 높이는 방법 외에는 CPU의 코어..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4.
  • 4장 CPU의 작동 원리 04-1. ALU와 제어장치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장치이다.CPU 내부에는 계산을 담당하는 ALU,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해석하는 제어장치, 작은 임시 저장 장치인 레지스터가 있다.ALU1+2를 계산할 때 1, 2라는 피연산자와 ‘더하기’라는 수행할 연산이 필요하다.이렇게 ALU는 레지스터를 통해 피연산자를 받아들이고, 제어장치로부터 수행할 연산을 알려주는 제어신호를 받아들인다.연산의 결과값은 바로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레지스터에 저장한다.CPU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속도는 레지스터에 접근하는 속도보다 훨씬 느리다.ALU가 연산할 때마다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한다면 프로그램 실행 속도를 늦출 수 있기 때문에 레지스터에 우선 저장하는 것이다.계산 결과와.. 공감수 1 댓글수 1 2024. 5. 19.
  • 3장 명령어 3-1 소스 코드와 명령어모든 소스 코드는 컴퓨터 내부에서 명령어로 변환된다.프로그래밍 언어가 어떻게 명령어가 되어 실행되는지 알아보자!고급 언어와 저급 언어고급 언어는 ‘사람을 위한 언어’다.컴퓨터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해할 수 없다.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가 아닌 사람이 이해하고 작성하기 쉽게 만들어진 언어다.저급 언어는 ‘컴퓨터가 직접 이해하고 실행 할 수 있는 언어’다.컴퓨터가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언어는 저급 언어 뿐이다.그래서 고급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저급 언어, 즉 명령어로 변환 되어야 한다.저급 언어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기계어0과 1의 명령어 비트로 이루어진 언어이진수와 십육진수로 표현되는 기계어는 컴퓨터만을 위해 만들어진 언어이기 때문에 사람이 읽으면 의미를..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8.
  • 2장 데이터 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정보 단위컴퓨터는 0과 1로 모든 정보를 표현하고, 0과 1로 표현된 정보만을 이해할 수 있다.0과 1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를 비트(bit)라고 한다.전구에 빗대어 생각했을 때 전구 한 개로 꺼짐과 켜짐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듯 1비트는 0 또는 1, 두가지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2비트의 경우 아래 왼쪽 그림과 같이 두 개의 전구가 네 가지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3비트의 경우 오른쪽과 같이 8가지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이는 2의 거듭제곱의 규칙을 가진다. 만약 전구가 n개이면 2의 n제곱 가지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우리가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와 같은 프로그램들은 수십만 비트로 이루어져 있다.하지만 프로그램의 크기를 말할 때 편의상 비트보다 큰 단위인..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7.
  • 1장 컴퓨터 구조 시작하기 01-1. 컴퓨터 구조를 알아야 하는 이유언뜻 생각해보면 컴퓨터 구조는 프로그램 개발과는 큰 관련이 없어 보인다. 왜냐하면 지금껏 컴퓨터의 구성 요소와 작동 원리를 몰라도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만 알면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하지만 실력 있는 개발자가 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기본 지식이다. 컴퓨터 구조를 이해하면 얻을 수 있는 여러 이점에 대해 살펴보자.문제 해결강의나 책에 나온 코드를 똑같이 따라 작성했는데도 코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이 의외로 빈번하게 발생한다.이런 상황은 실무에서도 종종 발생하는데, 개발할 때는 문제 없이 작동했던 코드가 실제 사용자들에게 선보이는 자리에서 작동하지 않는 상황이 비일비재하다. 이런 경우는 분명 코드상의 문법적인 오류만이 원인은 아닐..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0.
  •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무선 랜의 구조1. 무선 랜이란?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컴퓨터를 연결한다.장점 - 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케이블을 관리할 필요가 없다.- 랜 케이블이 닿지 않는 곳에서도 통신 할 수 있다.단점- 유선보다 속도가 불안정하다. - 전파가 약하면 연결이 잘 안된다. - 유선 랜에 비해 통신 내용이 해킹될 위험이 높다.구성요- 무선 액세스 포인트 - 무선 클라이언트(컴퓨터나 스마트폰) 보안에 신경써야하기 때문에 반드시 암호화나 인증 설정을 해두어야 한다.컴퓨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려면 무선 랜 칩과 무선 랜 어댑터가 필요하다.무선 랩 어댑터 종류에는 USB 포트에 꽂아 사용하는 USB 메모리 방식 어댑터와 컴퓨터 카드 방식 어댑터가 있다.무선 공유기..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7.
  • 8장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32장 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1. 네트워크의 구성OSI 모델 정리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네트워크 계층: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에 데이터를 전달한다.전송 계층: 목적지에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한다.응용 계층(세션 계층, 표현 계층 포함):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2. 컴퓨터의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과정컴퓨터의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할 때부터 웹 서버에 도착할 때까지 캡슐화와 역캡슐화가 이뤄진다.데이터가 전달되고 처리되는 과정을 살펴보자.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응용 계층에서 시작을 한다.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캡슐화가 시작된다.응용 계층에서는 웹 서버에 있는 h..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3.
  • 7장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28. 응용 계층의 역할1. 응용 계층의 역할웹 사이트를 볼 때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메일을 보내고 받을 때는 Outlook 같은 메일 프로그램을 사용한다.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을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은 서버웹 브라우저나 메일 프로그램은 사용자 측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니 클라이언트가 된다.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인 서버에서는 웹 서버 프로그램과 메일 서버 프로그램 등이 있다.그리고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응용 계층에서 동작한다.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계층이라서 응용계층이다.응용 계층은 5계층의 세션 계층과 6계층의 표현 계층을 포함한다.응용 계층에서는 사용자측(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하기 위해..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
  • 6장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OSI 모델 4계층인 전송 계층에 대해 알아보자.Lesson 23. 전송 계층의 역할1. 전송 계층의 두 가지 역할네트워크 계층을 설명할 때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라우터가 필요하고, 라우터의 라우팅 기능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고 했다.그렇다면 라우터의 라우팅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할 수도 있을까?Yes! 라우팅 정보가 잘못될 수도 있고, 많은 라우터를 경유하는 도중에 라우터에 문제가 생기거나 패킷이 손상될 수도 있기 때문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3계층이 있으면 목적지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더라도 이들 계층에서는 아무것도 해주지 않음전송 계층은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4. 29.
  • 5장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1. 네트워크 간의 연결 구조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아래와 같은 네트워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이 규칙에 따라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다.스위치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어디든 보낼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수많은 네트워크가 연결된 환경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만으로는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어렵다.  위 사진의 네트워크 A를 보면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만으로는 해당 네트워크 안에서만 통신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따라서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이다.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라우터..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4. 25.
  • 4장 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데이터링크 계층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이더넷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랜에서 적용되는 규칙허브와 같은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허브는 전기 신호를 전달받은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에 전달하기 때문에 관계없는 다른 컴퓨터들이 그 데이터를 볼 수 있다.데이터의 내용을 못보게 하는 방법보내려는 데이터에 목적지 정보를 추가해서 보내고 목적지 이외의 컴퓨터는 데이터를 받더라도 무시할 수 있다.❗️허브는 들어온 데이터를 그대로 모든 포트에 보내기만 한다.(더미 허브)따라서 컴퓨터 여러 대가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면 데이터들이 서로 부딪힐 수 있다. ..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4. 22.
  • 3장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OSI 모델의 1계층인 물리계층에 대해 알아보자.09.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데이터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전기 신호에 대해 알아보자.전기 신호란?0과 1만으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는 0과 1의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야 한다.전기 신호의 종류에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있다.아날로그 신호 : 물결 모양, 전화 회선이나 라디오 방송에 사용됨!https://i.imgur.com/XNiYgUS.png디지털 신호 : 막대 모양!https://i.imgur.com/QOapFL2.png데이터가 어떻게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지?데이터 송신 측 컴퓨터가..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4. 19.
  • 2장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06 네트워크의 규칙프로토콜이란?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면 대화가 통하지 않는 것처럼 네트워크에서도 문제없이 통신하려면 규칙을 정해야한다.통신하기 위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07 OSI 모델과 TCP/IP 모델OSI 모델이란?예전에는 같은 컴퓨터 회사끼리만 통신이 가능했다. 그래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규격을 정해야했다.표준 규격은 ISO 라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OSI 모델이라는 표준 규격을 제정했다.OSI 모델은 네트워크 기술의 기본이 되는 모델 컴퓨터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을 데이터 송수신이라고 한다.이때 컴퓨터 내부에서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 이런 일을 일곱 개의 계층으로 나눠서 한다.계층이라는 용어 대신 레이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통신할 때 데이터는 맨 위 응용 계..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4. 18.
  • 1장 네트워크 첫걸음 01. 네트워크의 구조1. 컴퓨터 네트워크란?컴퓨터 두 대 이상 연결되어 있으면 컴퓨터 네트워크가 되고, 컴퓨터 간에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컴퓨터 간의 데이터(파일) 전송, 웹 사이트 열람, 메일 송수신 등인터넷: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2. 패킷이란?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규칙이 있어야 한다. 그 규칙에는 패킷(packet)을 사용한다.패킷: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큰 데이터가 있더라도 작게 나누어서 보내는 게 규칙이다.왜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지 않는지?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점유)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4. 18.
  • 16장 설계를 방해하는 개발 프로세스와의 싸움 개발 프로세스 자체가 레거시 코드의 발생 원인이 되기도 한다. 문제는 기술 부족 이외에도 심리적 안정감, 커뮤니케이션, 조직적 요인 등 굉장히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각각의 문제와, 그 해결 방법에 대해 설명해보자 16.1 커뮤니케이션 16.1.1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하면 설계 품질에 문제가 발생 팀 개발에서는 팀원과 어떤 코드를 작업할 때 서로의 로직이 제대로 맞물리지 않아 버그로 이어지는 상황이 매우 흔하다.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해 서로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르기 때문이다. 16.1.2 콘웨이 법칙 커뮤니케이션 문제 해결과 관련된 콘웨이 법칙 콘웨이 법칙은 ‘시스템의 구조는 그것을 설계하는 조직의 구조를 닮아간다’ 라는 법칙이다. 개발 부문이 3개의 팀으로 구분되어 있다면 모듈의 수도 팀의 수와..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4. 13.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